Join us for our 2025 Reeve Summit in Denver, Colorado!

Connect

호흡기정보 링크 호흡기 / Respiratory

호흡기정보 링크 호흡기 / Respiratory

우리가 숨을 쉬면서, 공기중에 있는 산소가 폐로 들어가고 혈액근처로 접근이 된다. 산소가 여기에서 흡수되면서 몸의 전역에 분배된다. 동시에 혈액은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데 이는 폐를 통해 다시 몸 밖으로 내쉬어진다.

폐는 마비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하지만 가슴, 복부, 횡격막 주위의 근육들이 마비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여러가지 호흡 근육들이 수축하면서 폐의 팽창을 가능하게한다. 이는 가슴내의 압력을 변화시키면서 공기가 폐 내부로 밀고 들어오게한다. 이것이 흡입이다. 흡입을 하기위해서는 근육의 힘이 필요하다. 근육이 완화하면서 공기가 폐외부로 나오는데, 이는 숨의 내쉼이다.

마비 단계가 C-3 이상이면 횡격신경의 자극이 되지않으므로 횡격막이 작용하지 않는다. 이는 숨을 쉬기위해서는 인공호흡기와 같은 기계적 보조가 필요하다는 의미이다.

흉부의 중부 또는 상부에 마비가 있는 환자들은 깊은 숨을 쉬거나 힘있게 숨을 내쉬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이들은 복부 또는 늑간 근육을 사용하지 못하므로 힘있게 기침을 하지도 못한다. 이는 곧 폐충혈 또는 호흡계 염증을 유발할수 있다.

더욱이나 이런 분비물은 풀과 같은 작용을 하여 숨길의 양벽이 밀착되어 확장하지 못하게 막는다. 이는 폐확장 부전 또는 부분적 폐의 허탈이라고 불린다. 많은 마비환자들의 생명이 이 때문에 위험에 처해있다. 어떤 환자들은 감기나 호흡계 염증 질환 등 기침감기처럼 느껴지는 지속된 병태를 없애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분비액이 박테리아 균의 번식장을 제공하면 급성 폐렴도 가능하다.

기침을 돕기위한 유용한 테크닉으로는 환자의 복부 밖에서 위로밀면서 힘을 가하는 것이다. 이로써 보통 기침을 돕는 복부 근육 운동을 대신해 주는 것이다. 이 테크닉은 하임리히 요법보다는 훨씬 순하나 기존의 숨박자를 맞추어 이행하는 점이 중요하다.

또 다른 테크닉은 충격 요법이다. 이는 갈비뼈를 가볍게 울리면서 폐내의 충혈을 느슨하게 한다.

체위배액: 이는 중력을 이용하여 폐의 하부에 모여있는 분비액을 폐상부로 가슴에 배출시켜 분비물을 뱉어 내거나 삼키도록 유인하는 것이다. 보통 머리를 발보다 밑에 15-20분동안 위치했을 때 효과가 있다.

기관 절개관이 있는 인공호흡기 이용 환자들은 정기적으로 폐로부터 분비물을 제거해야한다; 이는 매 30분부터 매일에 한번씩 행해져야 할수도 있다.

인공 호흡기

기계 인공 호흡기에는 두가지 종류가 있다. 철폐와 같은 음압 호흡기는 심장외부에 진공을 만듦으로서 가슴을 확장시키고 폐안으로 공기를 빨아들이도록한다. 1940년대부터 사용된 공기를 직접 폐로 불어넣는 양압 호흡기는 이 반대의 윈리로 작용한다.

양압 호흡기 사용시 코 와/또는 입 위로 작은 안면 마스크가 쓰여질수도 있다.비상근으로 호흡의 보조가 필요한 환자들은 이처럼 침략적이지 않는 방법을 사용으로 기관 절개관에 관련된 합병증을 피할수 있다.

또 다른 호흡 테크닉으로는 전기장치를 가슴에 이식하는 것으로 이는 횡격 신경을 자극해 정기적 신호를 횡격막에 보내서 수축을 유도하고 폐에 공기를 채우는 방법이다. 횡격 신경 자극기(pacer)는 1950년대 후반부터 쓰여왔지만 많은 비용이 들어서 광범위하게 사용되지 않고 있다.

기관 절개관 간호

말하거나 삼키는 기능 무력을 포함해 기관 절개관 튜브에 관련된 여러가지의 합병증 유발이 가능하다. 특정한 절개관 튜브는 숨을 내쉴 때 공기를 위로 내보내도록 디자인 되어있어 정기적 기간적으로 말을 할수있게 한다

염증은 기관 절개관 튜브에 관련된 또 다른 합병증 중 하나이다. 이 튜브는 이 목에 있는 이질체로 코나 입으로 들여왔을때 자연 방어 구조로 정지되었을 유기물의 전함을 가능하게 한다. 기관 절개관지의 매일 청소와 손질이 염증을 막는 지름길이다.

자료 출처:

크레그 병원(Craig Hospital), 마이애미 의대(University of Miami School of Medicine), 워싱톤 의대(University of Washington School of Medicine)/재활의학과(Department of Rehabilitation Medic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