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긴장 / Spasticity
근긴장 / Spasticity
근긴장은 마비의 부작용으로 근육의 약한 굳음부터 중하고 억제할수없는 다리의 움직임으로까지 다양하다. 증상으로는 증가된 근긴장, 급속한 근육 수축, 과장된 심부 건반사, 근육 경련, 가위질 진동(무의식적 다리의 교차), 관절 고정이 있다.
근긴장은 보통 자율운동을 조절하는 뇌나 척수의 부위가 손상으로 인해 일어난다. 척수 손상, 다발성 경화증, 뇌성 마비, 산소 결핍의 뇌손상, 뇌외상, 심한 머리 외상, 또는 신진대사 질병과 관련되어 발생하기도 한다. 근긴장은 재활또는 일상 생활 활동에 지장을 줄 수 있다.
개인이 처음 상해를 입었을 때, 척수 충격이라고 불리는 외상 이하의 신체 반사작용의 무재때문에 근육은 약하고 유연하다; 이는 보통 몇 주에서 몇 달동안 지속된다. 척수 충격이 끝나면 반사활동이 재기된다.
외상 하부의 정상적인 신경전달이 차단되었기 때문에 이 메세지는 뇌의 반사 중추에 이르지 못할 수 있다. 그러면 척수가 몸의 반응을 알맞게 하려고 노력한다. 척수는 뇌만큼 효과적이지 않기 때문에 감각지대로 되돌려 보내진 신호는 보통 과장되어진다. 이는 지나친 활동을 하는 근육 반응으로 의사들이 경련성 긴장 과도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로는 는 절제할수 없는 “발작적” 움직인으로, 굳음이나 근육의 바로펴기, 충격같은 근육 또는 근육군의 수축 및 근육의 이상상태등이 있다.
척수손상을 입은 대부분의 사람들은 경련성 긴장과도의 한 형태를 체험한다. 경부 외상을 가진 환자들이나 불완전 부상 입은 사람들이 대마비나 완전 부상을 지닌 환자들에 비해 경련성 긴장과도를 경험할 확률이 높다. 제일 흔하게 경련하는 근육부분은 팔꿈치를 구부리거나 (굴근) 다리를 펴는(신근) 근육이다. 보통 이는 고통스러운 감각의 자율반응의 결과로 일어난다.
근긴장은 또한 특정 근육이 계속되어 수축하는 상태로서 정의된다. 이런 굳음이나 고정은 걸음걸이, 움직인, 언어능력에 방해가 될수 있다.
근긴장이 반드시 나쁘지는 않다. 어떤 사람들은 이 현상을 방광을 비우거나 이동하거나 옷을 입기 위해서 기능적으로 사용한다. 어떤 이들은 근육조를 살리고 혈액 순환을 개선키 위해 사용한다. 이는 뼈의 힘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기도 한다.
변환하는 근긴장Changing Spasticity
덴버 시의 크레그 병원 연구원들에 의하면 근긴장의 변화가 자체의 증상일수도 있다. 예를 들자면, 척수의 낭포나 공동(때때로 외상후 척수 공동증이라고 불린다)은 증가된 근긴장을 유발할수도 있다. 그리고 근긴장의 감소나 사라짐도 낭포의 신호가 될수있다.
척수에 발병할수있는 다른 질환들 –종양, 갈레인-바 증후군, 횡단성 척추염, 척수 뇌졸증 등- 또한 근긴장의 변화를 유발할수 있다. 방광염이나 피부염증같은 신경계 밖의 문제도 근긴장의 증가를 초래할수 있다.
근긴장의 치료로는 바클로펜(근이완제)이나 다이어제팜(진정제) 및 자나플렉스(경직치료제)과 같은 약물이 포함된다. 경련이 심한 환자들은 소형이고 수술을 통해 척수기능장애부분에 약이 직접 작용되는 저장소인 바클로펜 펌프를 이식하기도 한다. 이는 정신을 둔하게하는 구강복용의 부작용 없이 약의 고밀도를 가능하게 한다.
최근 몇년동안 어떤 의사들은 미용 주름제거에 쓰이는 근육이완제인 보톡스를 이용해 근긴장이 있는 어린이들을 치료해 왔다.
근육 스트레칭, 움직임 범위 운동등을 포함한 물리치료는 관절의 연축(근육의 수축 또는 단축) 을 예방하고 증상의 심각성을 저하한다.
때때로 신경마비가 있는 어린이들의 힘줄의 해방이나 신경근로를 절단하기 위해 수술이 추천되기도 한다. 경련이 앉거나 목욕하기 등 일반적 관리에 지장을 주면 선택적 척수 후근 절제술이 고려되기도 한다
근긴장은 많은 마비환자들에게 생긴다. 치료 계획은 환자 기능에 맞추어 정해져야 한다: 근긴장이 특정한 일을 하는데 방해하는가? 운전이나 파워휠체어 사용 중 조종을 잃을 안정성 위험이 있는가? 반경련성 약물이 주의집중력이나 활력에 영향을 끼치는 등 증상 자체보다 더 해로운가? 경련이 간호자 한명이 대처하는데 부담이 되는가? 여기에 하나의 답이라도 긍정이면 의사와 상담하여 선택권에 대해 논함이 바름직하다.
자료 출처:
전국 다발성 경화증 사회 (National Multiple Sclerosis Society), 통일 뇌성마비 협회( United Cerebral Palsy Associations), 국립 척수 손상 통계 센터(The National Spinal Cord Injury Statistical Center), 크레그 병원 (Craig Hospital), 버밍행 알라바마주립대 / 스페인 재활센터 (The University of Alabama at Birmingham/Spain Rehabilitation Center)